현재 문화체육부에 등록된 박물관은 전국적으로 총 100여 곳에 이른다. 그중 대부분이 종합박물관이지만 화폐, 스키, 철도, 죽물, 축음기, 김치, 자수, 가구, 석탄 등 특정분야 유물을 전시하고 있는 이색 테마박물관들도 많다. 이러한 특수 분야의 유물만 전문적으로 다루는 개인박물관들이 근래에 새로운 사회교육의 장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데, 이들 이색 테마박물관들은 작은 공간에 한 가지 주제를 정해 오밀조밀하게 다양한 유물을 전시해놔 일반 국공립박물관에서는 맛볼 수 없는 재미와 추억을 느낄 수 있어 날로 관람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들 이색박물관의 주인들은 ‘자신이 미치도록 좋아서’ 물건을 모우고 전시하는 만큼 남들이 봐주는 것이 기쁠 뿐이다. 따라서 입장료를 안받는 곳이 의외로 많다. 게다가 이들중 상당수는 단순한 수집광의 차원을 넘어 그 분야에 관한한 이론적으로 중무장하고 있어 관람객들의 질문에 아주 재미있고 자세하게 설명해 준다.
그럼 지금부터 전국에 산재해 있는 소규모 이색 테마박물관들을 찾아가 보자.
서울 소재 이색박물관
국악박물관 - 서울 양재동의 국립국악원 내에 72종의 국악기와 명인들의 악기와 악보 같은 애장품들을 한자리에 모아놓은 국악박물관은 보도 듣도 못한 우리의 옛 악기들을 한곳에서 직접 볼 수 있어 국악에 관심있는 사람이면 꼭 들러볼 것을 권한다. (02-580-3070)
한국자수박물관 - 허동화 관장이 30여 년 동안 모아온 자수 보자기와 병풍 등 총 3000여 점이 전시돼 있는 논현동 학동로 부근의 한국자수박물관에는 조선시대의 자수와 복식이 그대로 재현돼 있어 조선 여인들의 미려한 손끝을 맘껏 느낄 수 있다. (02-515-5114)
산악박물관 - 산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가봐야 할 곳이 역삼동 한국산악문화회관 3층에 있는 산악박물관이다. 이곳에는 조난사고와 구조활동 등의 사진과 장비, 순수 국산 등산장비, 국내 산악인들이 세계 고봉들의 정상에서 채취한 돌, 유명 산악인들의 장비 등이 전시돼 있다. (02-558-3331)
이밖의 서울 소재 이색박물관으로는 방배동 ‘디자인박물관 (02-590-3473)’, 청담동의 ‘짚풀생활사박물관 (02-562-1075)’, 성북초등학교 앞의 ‘한국가구박물관 (02-766-0168)’, 무역센타 내의 ‘김치박물관 (02-562-1075)’,청진동의 ‘잡지박물관 (02-745-9464)’, 쌍문동의 ‘옹기민속박물관 (02-900-0900)’, 명동의 ‘한국현대의상박물관 (02-319-5497)’ 등이 있다.
경기도 소재 이색박물관
중남미박물관 - 멕시코의 다양한 가면과 마야 잉카문명의 여러 토기들, 그리고 중남미 여러 나라의 민속공예품을 한자리에 모아놓은 고양시 고양동의 중남미박물관은 중남미에 관심있는 사람이나 중남미의 역사와 문화를 공부하려는 학생들에게 더없이 좋은 곳이다. (0344-62-9291)
세관박물관 - 인천 월미도의 관세공무원 교육원 내에 있는 세관박물관은 다양한 밀수 수법과 각국 세관원의 복장, 첨단 검색장비, 관세 100년의 역사를 전시해놔 일반인들이 매우 흥미있게 관람할 수 있다. (032-764-6603)
덕포진 교육박물관 - 서울 방화초등학교의 김동선 교사가 33년동안 교편을 잡으면서 모아온 2000여 점의 교육관련 자료들이 전시돼 있어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는 우리의 교육 생활사를 두루 더듬어 볼 수 있다. (0341-989-8580)
이밖의 경기도 소재 이색박물관으로는 경기도 여주의 ‘목아불교박물관 (0337-85-9952)’, 과천경마장의 ‘마사박물관 (02-500-1283)’, 전철 1호선 부곡역의 ‘철도박물관 (0343-61-3610)’, 포천 소흘면의 ‘산림박물관 (0357-32-8009)’ 등이 있다.
강원도 소재 이색박물관
참소리 축음기오디오박물관 - 강릉 송정마을 소나무 숲 가운데 자리하고 있는 세계 유일의 축음기박물관인 이곳에는 세계 60여 개국에서 수집한 음향기기와 음반, 관련 서적이 전시돼 있는데, 특히 세계 16개국에서 만든 3000여 점의 축음기 가운데 총 1400여 점을 보유하고 있다. 그래서 미국의 에디슨박물관보다도 에디슨이 만든 축음기 진품들을 더 많이 소장 전시하고 있다. (0335-30-3551)
한국스키박물관 - 진부령 알프스리조트 안에 있는 스키박물관에는 스키와 관련된 생활사와 한국 스키의 발전과정이 전시돼 있는데, 고대썰매에서 근대 스키에 이르는 총 309점의 자료 유물이 체계적으로 전시돼 있다. (0392-681-5030)
대관령박물관 - 강릉시 성산면 대관령에 있는 이 박물관은 고인돌 형태의 건물에 목불, 목각인형, 청동유물, 토우, 토기, 그림, 가구류 등 총 1200여 점에 달하는 자료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0391-41-9801)
경상남북도의 이색박물관
경보 화석박물관 - 국내 유일의 화석박물관인 이곳에는 각 시대별, 지역별로 동식물의 화석 1500여 점이 고중신생대 등의 전시관과 한국관, 광물관으로 나뉘어 전시되고 있으며, 전세계 20여 개국에서 수집한 4000여 점의 화석이 전시되고 있다. (0564-32-6025)
안동 하회동 탈박물관 - 마치 수원성을 축소해 놓은 듯한 이곳에는 국내외의 각종 탈 250여 점이 수집 전시되고 있는데, 세계 각국의 탈들을 비교해가며 구경할 수 있다. (0571-53-2938)
태정민속박물관 - 고가구엔 모양새에 걸맞게 주석이나 백동, 무쇠 등으로 만든 가구장식을 했는데, 이것을 장석이라 한다. 이러한 장석만을 모아 전시하는 곳이 진주시 진주성 부근에 있는 태정민속박물관이다. (0591-745-3020)
이밖의 경상남북도 소재 이색박물관으로는 포항시 장기곶의 ‘등대박물관 (0562-84-4857)’, 대구 대봉동 건들바위 사거리의 ‘한국무속박물관 (053-421-6677)’, 경남 양산시의 ‘통도사 성보박물관 (0523-82-1001)’ 등이 있다.
전라남북도 소재 이색박물관
나주 배박물관 - 국내 및 세계 각국의 배 400여 점이 시대별, 품종별로 분류돼 있고, 배에 관한 고서, 배바구니, 농기계 등이 전시돼 있다. (0613-31-5038)
담양 죽물박물관 - 대나무를 이용한 다양한 죽제품들이 전시돼 있는데, 요즘에는 쉽게 찾아 볼 수 없는 우리 선인들의 재미있는 대나무 생활용품들을 만날 수 있다. (0684-81-4111)
동진수리민속박물관 - 전북 김제시 요촌동에 있는 이 박물관에는 차츰 사라져가는 수리 농경생활자료인 용두레 등의 수리농업 관련 문화유산을 1200여 점이나 수집해 전시하고 있다. (0658-547-3121)
제주도 소재 이색박물관
제주도 민속자연사박물관 - 제주도 고유의 문화유산을 자연과 인문환경으로 구분해 전시하고 있는 제주시 일도동의 이 박물관에는 의식주, 서화, 전통 생활용품 등 총 2만 3000여 종이 전시되고 있다.(064-22-2465)
중문민속박물관 -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에 있는 이 박물관에는 옛 제주의 전통 포구마을을 원형 그대로 복원해 농기구, 어로기구, 생활용품 등을 전시하고 있다.(064-38-5511)
충청남북도 소재 이색박물관
햄박물관 - 아마추어 무선통신 40년 역사를 모아놓은 논산의 건양대학교 햄박물관에는 진공관식 단파장비, 모르스 부호장치 등의 옛 장비들과 최신 VCR컴퓨터 등에 이르기까지 총 850여 점의 통신장비들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전시되고 있다.(0461-30-5114)
석탄박물관 - 충남 보령시에 있는 이곳은 89년 석탄산업 합리화조치 후 세워졌는데, 석탄의 생성, 채탄이용 과정의 각종 유물을 전시함과 동시에 모의갱도를 설치해 관람객이 갱도 안에 들어가 볼 수 있도록 꾸며져 있다.(0452-34-1902)
화폐박물관 - 대덕연구단지 안에 있는 이곳에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화폐발달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전시하고 있는데, 국내외 주화, 지폐, 메달 등 총 7만 1000종의 유물이 보존돼 있다.(042-861-5201)
이밖의 충청남북도 소재 이색박물관으로는 대전광역시 삼성동의 ‘한밭교육박물관 (042-626-5394)’, 대전 산성동 남대전전화국의 ‘전화박물관’, 충남 아산시의 ‘온양민속박물관 (0418-42-6001)’, 충북 음성군의 ‘한독의약박물관 (0434-530-1004)’등이 있다.

'=====예 술 공 간===== > *.古宮·博物寬·美術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화민족 박물관 (0) | 2008.02.01 |
---|---|
[스크랩] 우리나라 박물관 찾아가기 - 4 (0) | 2008.02.01 |
[스크랩] 우리나라 박물관 찾아가기 - 2 (0) | 2008.02.01 |
[스크랩] 우리나라 박물관 찾아가기 - 1 (0) | 2008.02.01 |
世中 "돌" 博物館 (0) | 2007.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