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변 산 ★
▒ 언 제 : 2008. 08. 03 (일요일)
▒ 어 디 로 : 내변산(청림마을-의상봉-와우봉-비룡상천봉-비득치) 변산해수욕장
청림초입 09:35 - 원효굴10:46 - 의상봉11;28 - 비득치14:00 하산(4시간25분)
▒ 날 씨 : 맑은편
▒ 식 수 : 무
▒ 카 메 라 : OLYMPUS FE-300 /1200백만화소급/3배줌
▒ 사진 및 편집 : 여행나라 / by moon (사진품질: 포토윅스 80%)
▒ 스 크 랩 : 허용
▒ 내용출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네이버백과
#
초입지 청림마을 ...

#
고추
별칭 : 당추, 꼬치, 고초, 긴고추, 남고추
학명 : Capsicum annuum L.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남미 원산이다 /온대에서 열대까지 널리 재배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전국적으로 재배한다.
크기 ; 높이 약 60cm이다.
� : 꽃은 여름철에 피며 백색이고 엽액에 1개 또는 2-3개가 곧게 또는 아래를 향해 달리며 꽃받침은 녹색이고
끝이 짧게 5조각으로 갈라지며, 화관은 얕은 접시모양이고 방사상으로 5-9개로 깊게 갈라지며 지름 12-18mm이다.
용도 : 붉게 익은 열매는 말려서 향신료로 쓰고 관상용·약용(중풍·신경통·동상 등)으로도 쓴다. 잎은 나물로 먹고 풋고추는
조려서 반찬으로 하거나 부각으로 만들어 먹는다. 고추의 매운맛은 캅사이신(C18H27O3N)이라고 하는 염기 성분 때문이며
붉은 색소의 성분은 주로 캅산틴이다.

#
마을 골목길에서 바라본 의상봉 방향 운무 ...

#
한폭의 동양화 같은 풍경을 가까이 ...

#
누리장나무
-. 유사종으로 가지와 잎에 갈색 털이 빽빽이 나는 것을 털누리장나무(var.ferrungineum),
잎 밑이 심장밑꼴이고 끝이 뾰족하며 꽃받침조각이 좁고 긴 것을 거문누리장나무(var.esculentum)라고 한다
별칭 : 개똥나무, 노나무, 개나무, 구릿대나무, 누기개나무, 이라리나무, 누룬나무, 깨타리, 구린내나무, 누르나무 학명 : 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ex Murray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마편초과의 낙엽활엽 관목 분포 : 한국(원산지) 강원도 및 황해도 이남의 표고 100~1,600m 사이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크기 : 높이 2m 정도로 자란다. 꽃 : 꽃은 양성화로 8-9월에 피고, 꽃받침은 홍색이 돌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화관은 지름 3c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이고 백색이다. 4개의 수술이 길게 화관 밖으로 나온다 용도 : 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 꽃과 열매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심는다. 생약의 해주상산(海洲常山)은 잔 가지와 뿌리를 말린 것인데, 한방에서 기침·감창(疳瘡)에 사용한다.
#
이스라지
별칭:이스라지나무, 산앵도, 산앵도나무, 유수라지나무, 오얏, 물앵두
학명: Prunus japonica var. nakaii (H.Lev.) Rehder
영명: Japanese Bush Cherry
분류: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
분포:한국, 중국 북동부에 분포한다
크기:높이는 1.5m가량 된다.
꽃 :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같이 피며 연홍색이고 2-4개가 산형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1.7-2.2cm 정도로서 털이 없거나 있고,
꽃받침통은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꽃받침잎은 타원형으로 잔톱니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꽃잎은 연한 홍색으로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수술이 꽃잎보다 짧으며 암술대에 잔털이 있고 자방에 털이 없다
열매는 핵과로서 구형이고 털이 없으며 7-8월에 적색으로 익고 맛이 약간 떫다. 종자는 둥글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mm정도이다.
용도:종자 안에 들어 있는 알맹이를 약용하고 과육은 떫지만 먹을 수 있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자료사진 08, 04, 13 진해 천자산에서

숲길로 접어든 길목에 .. ...
#
양하 [襄荷 -오를 양/연하 하)
별칭 : 양애, 양해깐
학명 : Zingiber mioga (Thunb.) Roscoe
영명 : Mioga Ginger
분류 :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열대 아시아 원산 /남부의 사원 부근에서 재배한다.
크기 : 엽초가 원줄기처럼 자라서 높이 40-100cm로 되고 화경(花莖)은 높이 5-15cm로 자란다.
꽃 : 꽃은 8-10월에 피며 지름 5cm정도로서 포 사이에서 나와 당일 쓰러지고 화경(花莖)은 지하경 끝에서 인편엽으로 싸여
길이 5-15cm정도 자라며 긴 타원형의 화서가 발달하여 황색꽃이 핀다
용도 : 한방에서는 뿌리줄기와 종자를 약재로 쓰는데, 뿌리줄기는 여성의 생리불순과 백대하를 치료하고 진해·거담 효과가 있으며
종기와 안구 충혈에도 사용한다. 종자는 복통이 심할 때 설탕과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자료사진 ....양하의 꽃

#
송장풀 [Largeflower Motherwort]
이명 : 개속단· 대화익모초(大花益母草) 개방앳잎, 산익모초라고도 한다
학명 : Leonurus macranthus Maxim.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크기 : 높이가 1m정도에 이른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길이 25-32mm로서 연한 홍색이며 윗부분의 엽액에서 5-6개씩 윤산화서로 핀다
용도 : 풀 전체를 이뇨제·강정제·중풍치료에 사용한다.

#
마을에서 보았던 암봉..

#
#
예당나무
별칭 : 꽤잎나무, 비닥나무, 시닥나무, 예닥나무
학명 : Mallotus japonicus (Thunb.) Muell. Arg.
영명 ; Japanese Mallotus
분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쥐손이풀 대극과의 낙엽 소교목
분포 ; 일본과 중국,대만에도 분포한다. 남쪽 바닷가 따뜻한 지역에 자생하고 제주도에서는 표고 1,100m에서도 자란다.
크기 : 수고 10m정도.
꽃 : 원추화서는 정생하며 화서의 길이 8~20cm로서 선모가 밀생하고,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핀다. 수꽃은 털이 있고 여러 개가
모여 달리며 꽃받침은 3~4개로 갈라지고 담황색이며 수술은 50~80개이다. 꽃밥은 약 1cm 정도로 털이 있다.
용도 : 나무껍질에 타닌과 쓴 물질이 들어 있어 건위제로 이용하고, 민간에서는 잎을 치질과 종처에 바른다

#
웅장한 암봉 ..우측으로

#
파노라마 촬영 ... 2매편집

#
사위질빵 [Aoiifolia Virgin`s bower]
종류: 좀사위질빵. 좁은잎좀사위질빵.
이 명 : 질빵풀
학 명 : Clematis apiifolia DC.
분 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덩굴식물.
분 포 :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전국 산야의 표고 50-1,000m사이에 자생한다.
크 기 : 길이가 3m 에 달한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액생하는 짧은 취산화서 또는 원추화서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5-12cm이고
꽃은 지름 13-25mm이다. 꽃받침잎은 4개로서 피침상 도란형이며 길이 7-10mm로서 백색이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수술은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다. 꽃잎은 4장으로 십자형이고, 암술과
수술은 각각 여러개이다
용 도 : 어린 잎과 줄기를 식용한다

#
#
짚신나물 [Hairyvein Agrimonia]
별 칭 : 등골짚신나물, 큰골짚신나물, 집신나물, 북짚신나물, 산집신나물
학 명 : Agrimonia pilosa Ledeb.
분 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분 포 : 한국(원산지) ,· 일본, 오키나와, 중국, 아무르, 히말라야, 인도차이나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크 기 : 높이 30-100cm
꽃 : 꽃은 6-8월에 피고 황색이다
용 도 :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를 전체를 용아초(龍芽草)라는 약재로 쓰는데, 지혈제로 소변출혈· 자궁출혈·
각혈·변혈 등 각종 출혈 증상에 사용한다

#
고추잠자리도 고공행진...

#
구릿대
별 칭 : 구리때, 구릿때, 백지, 구리대
학 명 : Angelica dahurica (Fisch. ex Hoffm.) Benth. & Hook.f. ex Franch. & Sav.
영 명 : Dahurian Angelica
분 류 :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두해살이 또는 세해살이풀
분 포 : 일본, 만주, 중국,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제주, 전북, 경남, 경북, 충남, 충북, 강원, 경기, 평북, 함북에 야생한다.
크 기 : 높이 1-2m정도이다.
꽃 : 꽃은 백색으로 6~8월에 피며 복산형화서에 달리고 소산경은 20-40개로서 길이 4-6cm이며 소화경과 더불어 잔돌기가 밀생하고 총포는 없으며 소총포는 작다
용 도 : 어린 잎은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말려 만든 생약을 백지라 하여 발한·진정·진통·정혈·감기·두통·통경·치통에 처방한다

#
휴~~우 ... 원효굴 도착

#
의상봉 정상 방향으로 ..

#
왔던 능선을 뒤로 ...파노리마 ..

#
꽃며느리밥풀 [Rose Cowwheat]
-. 변종으로 털며느리밥풀(var. hirsutum) 등이 있는데, 털며느리밥풀은 꽃받침에 긴 털이 있고 포에 가시 모양의 톱니가 많다
이명 : 꽃며느리바풀, 민꽃며느리밥풀, 돌꽃며느리밥풀, 꽃새애기풀
학명 : Melampyrum roseum Maxim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원산지) ,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크기 : 높이가 30-50cm정도로 자란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홍색이며 , 9월에 익어 2쪽으로 갈라진다
용도 : 관상용. 밀원. 전초를 청혈해독약으로서 옹종창독에 쓰며 뿌리로 만든 차는 청량음료이다

#
등골나물
별칭 : 벌등골나물, 새등골나물
학명 : 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분류 :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크기 : 높이가 2m에 달한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원통형이며 길이 5-6mm이고 소화는 5개씩이며 포린은 2줄로 배열되고
바깥 것이 훨씬 짧으며 끝이 둥글다.
용도 : 어린순은 식용한다. 한방과 민간에서 황달, 통경, 중풍, 고혈압, 산후복통, 토혈, 폐렴 등에 약제로 쓰인다

#
보기는 먹음직 스런데 식용인자 아닌지 ..알수없는 버섯

#
와우봉을 지나 우측으로 ... 뭉개구름이 두둥실,,

#
비룡상천봉 방향으로 ..

#
새만금 방향으로 ...
이제는 간척지로 변한 드넓은 호수위에 가을 기분같은 구름...

#
오던능선을 뒤로 .. 아득히 의상봉 ... 파노라마 촬영

#
뚝트인 새만금방조제 방향으로 ... 파노리마 촬영

#
골등골나물
별칭 : 벌등골나물, 띄등골나물, 샘등골나물, 새골등골나물, 세별등골나물
학명 :Eupatorium lindleyanum DC.
영명 : Lindley Eupatorium
분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 타일랜드, 인도, 만주, 필리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크기 :높이 약 70cm이다.
꽃 :꽃은 7-10월에 피며 백색 또는 홍자색이 돌고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며 화서는 지름 6-9cm이고 총포는 원통형으로서
길이 4-5mm이며 소화는 5개이고 포린은 9개로서 2줄로 배열되며 약간 자줏빛이 돈다.
잎은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 선점(腺點)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용도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한방에서는 택란(澤蘭)이라 하여 포기째 당뇨병·중풍·고혈압 등의 치료에 쓴다.
등골나물에 비해 잎이 좁다

#
새만금방조제 ... 파노라마 (3매편집)

#
노간주나무
별칭 :노가주나무, 노가지나무, 노간주향, 코뚜레나무 등
학명 :Juniperus rigida Siebold & Zucc.
분류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
분포 :전국 산야에 자생하며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크기 ;높이 8m, 지름 20cm안팎
꽃 : 자웅이주이며, 꽃은 전년지의 엽액에서 4-5월에 핀다.
용도 : 정원수로 심으며 목재는 조각재로 쓰고 열매는 식용한다. 생약의 두송실(杜松實)은 열매를 말린 것인데, 한방에서는 열매를
발한·이뇨·신경통·류머티즘에 쓴다. 정유로 두송실정(杜松實精)을 만들어 류머티즘에 바르기도 하고 양주 진(Gin)의 향료와 그밖의 여러 향료에 사용한다

#
우산나물
잎이 새로 나올 때 우산처럼 퍼지면서 나오므로 우산나물이라고 한다
이명 : 삿갓나물이라고도 한다
학명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의 야산에서부터 표고 1.000m씩 되는 고산지대까지 수림밑의 반그늘진 습한 곳에 군락을 이루며 자생한다.
크기 : 높이 70~120m
꽃 : 꽃은 6-9월에 피며 지름 8-10mm로서 원추화서를 이루며 화경은 길이 3-10mm로서 털이 있으며 포는 길이 1.5-3mm로서 피침형이다.
총포는 원통형이고 길이 9-10(때로는 7)mm이며 포편은 5개, 소화는 7-13개이며 화관은 길이 9-10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용도 : 어린순을 나물로 먹으며 관상초로 심는다

#
비득치 마을에서 의상봉 방향으로..

#
참깨
참깨꽃
별칭 : 호마(胡麻)·지마(芝麻)·향마(香麻)라고도 한다.
학명 : Sesamum indicum L.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참깨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인도 또는 아프리카 열대 지방
크기 : 높이는 1m이다.
꽃 : 꽃은 7∼8월에 연분홍색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에 있는 잎겨드랑이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린다
용도 : 종자는 흰색·노란 색·검은 색이다. 한방에서는 종자를 흑지마(黑芝麻)라는 약재로 쓰는데, 피부 점막의 회복을 촉진하고,
혈액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줄이며, 장 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 종자에는 45∼55%의 기름이 들어 있고 단백질이 36% 들어 있다. 종자를 각종 식품과 조미료로 이용하는데, 아시아 요리에
특히 많이 쓰인다. 또한 종자에서 품질 좋은 기름을 짜내 사용하고, 기름을 짜고 남은 깻묵은 사료 및 비료로 쓴다

#
정겨운 담장가에 옥수수 ...피마자 ...

#
땡감..

♣ 변산해수욕장 주변에서 꽃 모음 ♣
#
벌개미취 ..
별칭 : 고려쑥부쟁이
학명 : Aster koraiensis Nakai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특산종으로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크기 : 높이가 50-60cm이다.
꽃 : 꽃은 6-10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연한 자주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13mm, 지름 8mm이다.
용도 :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
부처꽃-[loosestrife]
종류 : 털부처꽃 , 좀부처꽃,.부처꽃 좀
이명: 천굴채(千屈菜)두렁꽃 라고도 한다
학명: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분류: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도금양목 부처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한국(원산지)한국, 일본,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크기: 높이 1m.
꽃 : 꽃은 7-8월에 자홍색
용도: 한방에서는 전초를 방광염 ·이뇨 · 지사제(止瀉劑) 등으로 사용한다

#
박주가리
별 칭 : 박조가리, 노아등(老鴉藤), 뢰과(賴瓜), 비래학, 학광표, 한의학에서는 라마
학 명 :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분 류 : 쌍떡잎식물 용담목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특 성 : 양지의 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다년생 덩굴식물로서,자르면 젖같은 액체가 나오며, 지하경이 길게 뻗어 번식한다.
잎은 대생하고 난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10cm, 나비 3∼6cm로서 털이 없으며, 약간 두껍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어떤 곳에서나 잘 자라고 울타리를 타고 오르기도 하며,풀밭에서 자라는 큰 식물체를 감아 오르면서 무성하게 번식한다.
크 기 : 길이 약 3m
꽃 : 개화기-7∼8월/꽃색 : 흰색 연한 자주색/ 꽃차례 : 총상꽃차례
분 포 : 일본, 쿠릴열도,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들판의 습기있는 곳
용 도 : 종자의 털을 솜 대신 사용하며,종자와 연한 순을 먹을 수 있고,열매는 강장제로 쓰고 털은 도장밥으로 사용한다

#
봉선화 [鳳仙花]
별칭 : 봉숭아, 금봉화, 봉사, 지갑화
학명 : Impatiens balsamina L.
분류 :무환자나무목 봉선화과
분포 :인도, 말레이지아, 중국 원산이다. 세계 각국에 널리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크기 :높이 60cm 내외이다.
꽃 :꽃은 홍색, 백색, 또는 자색 등 여러가지 색으로 7~8월에 피고 꽃이 하나 또는 수 개가 모여서 액생(腋生)한다.
용도 :원예용, 염료, 약용 /손톱과 발톱 무좀에 봉선화 꽃잎이 특효라고 알려져 있다.

순한국식 이름은 봉숭아이지만, 일제강점기 때 홍난파의 《봉선화》가 알려지면서 봉선화라는 이름이 일반화되었다. 꽃 모양이 봉황새를 닮았다고 해서 봉선화라는 이름이 붙었다. 봉선화 꽃이 피어나면 어리뒤영벌이 과감하게도 꽃잎 속에 몸을 묻고 꿀주머니를 잘라 꿀을 빨아먹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도둑으로 의심 받은 그리스 여신이 결백을 주장하며 떠돌다가 지쳐 봉선화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씨앗이 튀는 것은 그 결백함을 증명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꽃말도 ‘날 건드리지 마세요’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무언가에 닿아 열매가 터져야만 씨앗을 퍼뜨려 번식할 수 있다.
여름 아침녘이면 잎에서 나온 수분이 잎의 가장자리에 송글송글 맺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특히 무더운 밤일수록 더욱 커다란 물방울을 만들어내곤 한다. 봉선화는 열매가 여물면 조그만 자극에도 꼬투리가 터지면서 씨앗이 튀어나가는데, 이렇게 튀어나간 씨앗들은 대부분 모양이 둥글고 표면이 매끈하여 이리저리 잘 굴러 다닌다.
꽃밥이 연결되어 있는 것도 하나의 특징인데, 주로 미세한 크기의 풍매화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정원용으로 들여온 꽃으로, 가뭄에 강하고 햇볕이 드는 곳이면 어디서든 잘 자란다. 늦여름 습기가 있는 곳에 지천으로 피어 있는 물봉선은 원산지가 한국으로 봉선화와 한 식구이다.
예부터 초가을이면 꽃잎과 백반을 함께 섞어 찧어서 손톱에 물을 들였다. 소녀들은 첫눈이 내릴 때까지 손톱 끝의 봉선화 물이 빠지지 않으면 첫사랑이 이루어진다는 이야기에 가슴을 설레이며 눈이 오기를 기다리곤 했다. 손톱과 발톱 무좀에 봉선화 꽃잎이 특효라고 알려져 있다.
#
참나리
이명 :백합, 나리, 알나리
학명 : Lilium lancifolium Thunb.
분류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중국·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산과 들에서 자라고 관상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크기 : 높이 1-2m로 자란다.
꽃 : 꽃은 노란빛이 도는 붉은 색 바탕에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 점이 많으며 7-8월에 피고 가지끝과 원줄기끝에 4-20개가 밑을 향해 달린다.
용도 : 한방에서 비늘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진해·강장 효과가 있고, 백혈구감소증에 효과가 있으며, 진정 작용·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다

#
백일홍[百日紅]
별칭 :백일초 .백일홍이란 꽃이 100일 동안 붉게 핀다는 뜻이다.
학명 :Zinnia violacea Cav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멕시코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크기 :높이는 60∼90cm이다.
꽃 :꽃은 6∼10월에 피고 두화는 긴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용도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한다
백일홍은 원래 잡초였으나 여러 화훼가들이 개량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들꽃을 개량한 본보기의 하나이다.
배롱나무의 꽃을 백일홍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다른 식물이다.
꽃말 : 꽃말(흰꽃)은 ‘순결’이다

#
실새삼
학명 :Cuscuta australis R.Br.
분류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한해살이 기생식물
분포 :전남, 경남, 강원, 경기,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크기 :길이 50cm 내외이다. 밭둑이나 풀밭에서 자란다
꽃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의 각 부분에 취산화서 또는 총상화서가 덩어리처럼 달리며 화경은 짧고, 소화경이 달린 잔꽃이 밀생한다
용도 : 새삼보다 가늘며 콩밭에 큰 피해를 준다.
한방에서 종자와 포기 전체를 가루로 만들어 강정제·강장제·치한제(治寒劑)·치질치료제 등으로 사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