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공간=====/*.有名寺刹

[스크랩] 수안보 미륵리 미륵사지

성수농원 2008. 8. 16. 08:17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미륵리사지 전경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  석불입상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  귀 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  오층석탑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5  미륵리사지  병영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6  미륵리사지  삼층석탑

 

 


 

1. 지     정 : 사적 317호
2. 명     칭 : 중원미륵리사지(中原彌勒里寺址)
3. 소 재 지 : 충북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 58

4. 폐사시대:  조선시대 추정

5. 일반설명

  미륵라사지(寺址)는 미륵대원지(彌勒大院址)라고도 하며 석조(石造)와 목구조(木構造)를 합성(合成)시킨 석굴사원(石窟寺院)으로 석굴(石窟)을 금당(金堂)으로 한 북향(北向)의 특이(特異)한 형식(形式)을 취한 유일(唯一)한 유적으로 유명하다. 현재 석굴(石窟) 상부(上部)의 목구조(木構造)는 남아있지 않으나 하부(下部) 석굴(石窟) 구조물(構造物) 중앙(中央)에는 주존불(主尊佛)인 미륵여래(彌勒如來)가 안치(安置)되어있으며 1977년 발굴(發掘)에 의해 전실(前室)에 해당되는 구역에서 초석(礎石)들이 발견(發見)되어 평면(平面)의 구조(構造)를 알 수 있게 되었다.

  이 석굴(石窟) 앞쪽에는 석등(石燈)을 비롯하여 오층석탑(五層石塔)·귀부(龜趺)·당간지주(幢竿支柱)·불상대좌(佛像臺座) 등 석조물(石造物)들이 많이 남아있는데 이들은 그 수법으로 보아 고려초기(高麗初期)인 10세기경(世紀頃)의 유물로 추정되고 있다.

  발굴조사시(發掘調査時) 「미륵당(彌勒堂)」「명창삼년금당개개와(明昌三年金堂改蓋瓦)」등의 명문와(銘文瓦)가 출토(出土)되어 고려(高麗) 명종이십이년(明宗二十二年)(1192년) 금당(金堂)의 기와를 새로 이였음을 알 수 있으며 석굴(石窟)과 전실(前室)의 목구조(木構造)가 소실된 것은 13세기(世紀)였고 그 후 곧 복원(復元)되었다가 조선초기(朝鮮初期)에도 대중수(大重修)가 있었고 또다시 임진왜란(壬辰倭亂)때 소실되었던 것을 18세기 때 다시 수리(修理)가 있었지 않았나 추정된다. 그 후 폐사되었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1936년에 있었던 큰 수해(水害)로 크게 피해를 입어 법등(法燈)이 끊기지 않았나 생각된다.

  경내(境內)에는 현재 보물로 지정된 석불입상(石佛立像)과 오층석탑(五層石塔)이 있고 그 외에 석등(石燈)·삼층석탑(三層石塔)·귀부(龜趺)·당간지주(幢竿支柱)·불좌대(佛座臺) 등 많은 석조물(石造物)들이 남아있어 창건당시(創建當時)의 사격(寺格)을 말해주고 있다.

출처 : ♣ 이동활의 음악정원 ♣
글쓴이 : 정 수 억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