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 泥田鬪狗 ♥★ ♥★ 泥田鬪狗 ♥★ '진흙탕에서 싸우는 개'라는 뜻으로, 자기 이익을 위하여 볼썽사납게 싸우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옛날 우리나라의 8도 사람들에 대한 평가에서 유래되었다. 옛날 우리나라 8도의 사람들에 대한 특징을 4글자로 평가한 四字評에서 나온 말이다. 여기에 따르면 경기도 사람.. =====지식 자료방=====/*.天字文및古詩調 2008.05.17
[스크랩] 서예기초이론 서예기초이론 글씨 등을 소재로 서사(書寫)하여 표현하는 조형적 선(線)예술이다. 준비물 (1) 붓-붓털의 직경이 최소한 1.5 - 2.0Cm 정도의 것이 연습용으로 적합함. (2) 벼루-적어도 가로 15Cm,세로 24Cm,정도는 되어야 편리함. (3) 먹-중형 (4) 종이-연습용 화선지(신문지 등은 적절치 아니함.) (5) 서진 (문진) (6).. =====지식 자료방=====/*.天字文및古詩調 2008.03.01
[스크랩] 서예용어 서예용어 * 강약(强弱) 필 획의 表現(표현)이 强(강)하고 弱(약)한 程度(정도) * 강호(强豪):털의 性質(성질)이 강한 붓 黃毛(황모) 狼虎(낭호) 서수 鼠須 등으로 만 들어진 것 * 개형(開形)글자의 外形 * 결구(結句) 점획을 效果 적으로 造化 있게 結合하여 文章을 構成하는 것 * 겸호( 겸(兼毫) 강모를 호의 .. =====지식 자료방=====/*.天字文및古詩調 2008.03.01
[스크랩] 중국 서예가 구양순 (歐陽詢 557∼641) 은 누구인가? 구양순 (歐陽詢 557∼641) 은 누구인가? 중국 당나라 서예가. 자는 신본(信本). 담주(潭州) 임상(臨湘;湖南省) 출생. 수(隋)의 양제(煬帝)를 섬겨 태상박사(太常博士,예식을 관장하는 벼슬)가 되었고, 당의 고조(高祖)가 즉위하자 급사중(給事中,황제의 측근에서 일하는 관직)으로 발탁되었다. 624년 칙령을.. =====지식 자료방=====/*.天字文및古詩調 2008.03.01
[스크랩] 王羲之 왕희지 (王逸少, 307∼365)의 蘭亭記 ( 난정기 ) 蘭 亭 記 ( 난정기 ) 王羲之 왕희지 (王逸少, 307∼365) &#61478; &#61478; 우리 나라 한시를 읽다가 보면 의외로 < 난정기>의 이야기가 많이 나와 혼자서 독습하는 마음으로 이 글을 읽고 감상하여 보았다. 민족문화진흥회 동영상강의도 크게 도움이 되었고, 한시를 감상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고 있.. =====지식 자료방=====/*.天字文및古詩調 2008.03.01
[스크랩] 아름다운 시 春江花月夜 [春江花月夜] 중국문화의 꽃이라는 唐詩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시로 평가되는 <장약허:張若虛(660-720)>의 <춘강화월야>를 소개한다. 아마도 꽃피는 봄 달밝은 밤에, 지금의 상해(上海) 근처 楊子江 하류의 경치를 바라보며 읊은 것으로 추정된다. 상해(上海)는 아편전쟁 이후 서방 열강이 중국.. =====지식 자료방=====/*.天字文및古詩調 2008.03.01
[스크랩] 중국 서예가 왕희지(王羲之)307-365 왕희지(王羲之)307-365 중국 동진(東晉)의 서예가. 자 일소(逸少). 우군장군(右軍將軍)의 벼슬을 하였으므로 세상 사람들이 왕우군이라고도 불렀다. 오늘날의 산둥성[山東省] 린이현[臨沂縣]인 낭야(琅句) 출신이며,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王導)의 조카이고, 왕광(王曠)의 아들이다. 중국 고금.. =====지식 자료방=====/*.天字文및古詩調 2008.03.01
[스크랩] 중국 서예가 안진경(顔眞卿)은 누구인가? 안진경(顔眞卿) 三和堂 안진경의 서법예술(書法藝術)은 당시 중국서예발전에 엄청난 공헌과 함께, 세계적으로도 그 영향은 혁신적인 서예법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나의 서예시작의 근본 바탕이 되었던 안진경에 대해 간단히 기술해보고, 현재 서예를 하는이들에게 또는 처음 라는이들에게 도움이 되.. =====지식 자료방=====/*.天字文및古詩調 2008.03.01
[스크랩] [한문쓰기 공부] 영자 팔법 사용자 PC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차단했습니다. 원본 글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지식 자료방=====/*.天字文및古詩調 2008.03.01
[스크랩] 중봉(中鋒)의 중요성 사용자 PC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차단했습니다. 원본 글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 중봉(中鋒)의 중요성 **측봉(側鋒)이니 편봉(偏鋒)이니 하는 것은 다 中鋒을 중심으로 생겨난 용어라 생각 되는데 書法은 왜 중봉을 근간(根幹)으로 하여야 하는가? ------------------------------------------ **중.. =====지식 자료방=====/*.天字文및古詩調 2008.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