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 가 유 산 ====/*.無形文化 87

[스크랩] 상여[喪輿] 와 상여[喪輿]소리

상여[喪輿] 본문 상여--> 상례 때 시신을 나르는 도구. 상여행상(行喪)이라고도 한다. 상여라는 말은 19세기 중엽 간행된 한국의 대표적 예서인 이재(李縡)의 〈사례편람〉에 처음 나온다. 〈사례편람〉에 따르면 대여(大與)는 가난한 사람들이 구하기 힘드므로 상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고 했으며, 〈세..

[스크랩] 중요무형문화재 제48호 단청장-1

단청장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48호 명 칭 단청장(丹靑匠) 분 류 무형유산 / 공예기술/ 목칠공예/ 칠공예 수량/면적 지 정 일 1972.08.01 소 재 지 기타 전국 시 대 소 유 자 관 리 자 설 명 단청은 청색·적색·황색·백색·흑색 등 다섯 가지 색을 기본으로 하여 궁궐·사찰·사원 등에 여러 가지 무늬와 ..

[스크랩] 중요무형문화재 제47호 궁시장 -1

궁시장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47호 명 칭 궁시장(弓矢匠) 분 류 무형유산 / 공예기술/ 목칠공예/ 목공예 수량/면적 지 정 일 1971.09.13 소 재 지 기타 전국 시 대 소 유 자 관 리 자 설 명 궁시장이란 활과 화살을 만드는 기능과 그 기능을 가진 사람을 말하는데, 활을 만드는 사람을 궁장(弓匠), 화살을 만..

[스크랩] 중요무형문화재 제46호 피리정악및대취타-1

피리정악및대취타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46호 명 칭 피리정악및대취타(피리정악및大吹打) 분 류 무형유산 / 전통연행/ 음악/ 궁중음악 수량/면적 지 정 일 1971.06.10 소 재 지 서울 서울전역 시 대 소 유 자 관 리 자 피리정악및대취타보존회 설 명 취타란 부는 악기(취악기)와 치는 악기(타악기)를 함께 ..

[스크랩] 중요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1

대금산조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45호 명 칭 대금산조(大금散調) 분 류 무형유산 / 전통연행/ 음악/ 민속음악 수량/면적 지 정 일 1971.03.16 소 재 지 기타 전국 시 대 소 유 자 관 리 자 설 명 산조란 장구반주에 맞추어 다른 악기를 독주형태로 연주하는 것을 말하며, 4∼6개의 악장을 구분하여 느린 장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