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 가 유 산 ====/*.無形文化 87

[스크랩] 흰 장삼, 붉은 가사의 승무… 우리 무형문화재들

흰 장삼, 붉은 가사의 승무… 우리 무형문화재들 2005 서울무형문화재 축제에서 선보인 살아있는 고유 문화 미디어다음 / 김지한 통신원 문화재라고 하면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들을 떠올리기 쉽지만 사실 문화재를 박물관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음악, 무용, 연극, 놀이, 공예 기술 등 다양한 예..

[스크랩] 중요무형문화재 제70호 양주소놀이굿

양주소놀이굿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70호 명 칭 양주소놀이굿(楊州소놀이굿) 분 류 무형유산 / 전통연행/ 의식/ 무속의식 수량/면적 지 정 일 1980.11.17 소 재 지 경기 경기전역 시 대 소 유 자 관 리 자 양주소놀이굿보존회 설 명 양주 소놀이굿은 설과 입춘을 맞아 가족의 번창과 풍년을 기원하는 굿으..

[스크랩] 중요무형문화재 제69호 하회별신굿탈놀이-3

하회별신굿탈놀이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69호 명 칭 하회별신굿탈놀이(河回別神굿탈놀이) 분 류 무형유산 / 전통연행/ 연희/ 탈놀이 수량/면적 지 정 일 1980.11.17 소 재 지 경북 경북전역 시 대 소 유 자 관 리 자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설 명 별신굿이란 3·5년 혹은 10년마다 마을의 수호신인 성황(..

[스크랩] 중요무형문화재 제68호 밀양백중놀이

밀양백중놀이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68호 명 칭 밀양백중놀이(密陽百中놀이) 분 류 무형유산 / 전통연행/ 놀이/ 세시놀이 수량/면적 지 정 일 1980.11.17 소 재 지 경남 밀양시 시 대 소 유 자 관 리 자 밀양백중놀이보존회 설 명 밀양 백중놀이는 바쁜 농사일을 끝내고 고된 일을 해오던 머슴들이 음력 7..

[스크랩] 중요무형문화재 제67호 탕건장

탕건장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67호 명 칭 탕건장(宕巾匠) 분 류 무형유산 / 공예기술/ 피모공예/ 피모공예 수량/면적 지 정 일 1980.11.17 소 재 지 제주 제주전역 시 대 소 유 자 관 리 자 설 명 탕건은 남자들이 갓을 쓸 때 받쳐 쓰는 모자의 일종으로, 사모(紗帽)나 갓 대신 평상시 집안에서 쓰며 말총이..

[스크랩] 중요무형문화재 제66호 망건장

망건장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66호 명 칭 망건장(網巾匠) 분 류 무형유산 / 공예기술/ 피모공예/ 피모공예 수량/면적 지 정 일 1980.11.17 소 재 지 제주 제주전역 시 대 소 유 자 관 리 자 설 명 망건은 갓을 쓰기 전에 머리카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말총으로 엮어 만든 일종의 머리띠로, 고려..

[스크랩] 중요무형문화재 제65호 백동연죽장

백동연죽장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65호 명 칭 백동연죽장(白銅煙竹匠) 분 류 무형유산 / 공예기술/ 금속공예/ 금속공예 수량/면적 지 정 일 1980.11.17 소 재 지 전북 전북전역 시 대 소 유 자 관 리 자 설 명 연죽(煙竹)이란 일반적으로 담뱃대를 말하며, 백동연죽은 백동으로 만든 담뱃대를 말한다. 백동..

[스크랩] 중요무형문화재 제64호 두석장

두석장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64호 명 칭 두석장(豆錫匠) 분 류 무형유산 / 공예기술/ 금속공예/ 금속공예 수량/면적 지 정 일 1980.11.17 소 재 지 기타 전국 시 대 소 유 자 관 리 자 설 명 목가구나 건조물에 붙여서 결합부분을 보강하거나 열고 닫을 수 있는 자물쇠 등의 금속제 장식을 총칭하여 장석(..

[스크랩] 중요무형문화재 제62호 좌수영어방놀이

좌수영어방놀이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62호 명 칭 좌수영어방놀이(左水營漁坊놀이) 분 류 무형유산 / 전통연행/ 놀이/ 세시놀이 수량/면적 지 정 일 1978.05.09 소 재 지 부산 부산전역 시 대 소 유 자 관 리 자 좌수영어방놀이보존회 설 명 좌수영어방놀이는 지금의 부산 동래에 전승되고 있는 놀이로, ..